제2형 당뇨병과 음주 – 가끔 술 한잔도 안 될까요? 약 복용 중 음주 시 주의사항과 스트레스 해소법까지 총정리
1. 서론 – “술이 안 좋은 건 아는데, 가끔 한잔도 안 될까요?”
제2형 당뇨 진단을 받은 뒤, 식단 조절, 운동, 금연, 금주까지 열심히 실천하셨다는 점에서 정말 훌륭하게 관리하고 계십니다.
하지만 지인들과의 만남에서 술을 완전히 피하다 보면, 외로움이나 스트레스가 쌓이고 사회생활에도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.
“공복 혈당도 안정적인데, 가끔 한두 잔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?
술 마시는 날은 약을 안 먹어야 하는 건가? 아니면 술 깬 후에 먹으면 되는 건가?
약이랑 술을 같이 먹으면 정말 위험한가요?”
이러한 고민을 하고 계신다면, 단순히 ‘술이 좋다/나쁘다’가 아니라 당뇨약의 종류, 술의 양과 종류, 섭취 시기, 혈당 상태, 간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접근해야 합니다.
이 글에서는 당뇨환자의 음주가 왜 위험한지, 가끔 음주를 해도 되는 조건, 약 복용과의 관계, 그리고 스트레스와 사회적 고립을 피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2. 제2형 당뇨병에서 술이 문제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2.1 술은 혈당을 오르기도, 떨어뜨리기도 합니다
혈당 상승 요인: 소주, 맥주, 와인 등에는 당분 또는 알코올 자체가 간접적인 혈당 상승 작용을 합니다.
혈당 저하 요인: 공복 상태에서 술을 마시거나, 인슐린/당뇨약을 복용한 상태에서 술을 마시면 간의 포도당 생산이 억제되어 저혈당 위험 증가
📌 즉, 술은 혈당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이중적 작용을 하므로 당뇨병 환자에게 위험합니다.
2.2 간과 췌장의 부담 증가
술은 간에서의 당 대사와 인슐린 감수성을 저하시켜 당뇨병 진행을 악화시킵니다.
지속적 음주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을 약화시켜 당뇨병을 빠르게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2.3 저혈당 쇼크의 위험
특히 술만 마시고 밥을 먹지 않거나,
당뇨약(메트포르민, 설포닐유레아, DPP-4억제제 등)과 함께 마시면
심할 경우 저혈당 쇼크, 실신, 심장 리듬 이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3. 질문자님의 혈당 상태, 술 마셔도 될 정도인가요?
현재 상태 정리
항목 수치
공복 전 혈당 78~98mg/dL → 정상 또는 아주 안정적
식후 혈당 98~126mg/dL → 당뇨 관리가 매우 잘 되고 있는 상태
약 복용 여부 식사 후 1~2회 복용 중
금주/금연 기간 약 1개월간 실천 완료
➡ 당화혈색소 수치가 6.5% 이하로 잘 유지되고 있다면,
가끔 적정한 범위 내에서의 가벼운 음주는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반드시 조건과 주의사항을 따르셔야 합니다.
4. 당뇨병 환자의 음주, 이렇게 하면 안전합니다
4.1 ‘가끔 한두 잔’은 어느 정도까지 괜찮을까요?
술 종류 최대 허용 권장량 (한 번 음주 기준)
소주 1잔~1.5잔 이하 (60ml 내외)
맥주 250ml~350ml (1캔 이하)
와인 100ml 내외 (작은 잔 1개)
양주 30ml~40ml 정도
📌 단, 매일 음주, 폭음, 공복 음주는 절대 금지입니다.
4.2 음주 전후 반드시 지켜야 할 수칙
술 마시기 전에는 반드시 식사를 하세요 (탄수화물 포함)
술 마시는 동안에는 짠 안주, 기름진 음식보다 단백질·채소 위주의 안주 선택
술 마신 날은 약을 일부 조절해야 할 수 있습니다 (아래 참고)
절대 공복에 술 마시지 마세요
5. 술 마시는 날, 당뇨약은 어떻게 하나요?
약 종류에 따라 대응 방법이 다릅니다
약 종류 술 마시는 날 복용 여부
메트포르민 (글루코파지 등) 주의 요망 – 공복 음주 시 복용 피하세요
설포닐유레아계 (글리메피리드, 글리벤클라미드 등) 저혈당 위험 높음 – 술 마시는 날 복용 피하는 게 안전
DPP-4 억제제 (자누비아, 트라젠타 등)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저혈당 주의
SGLT2 억제제 (포시가, 자디앙 등) 탈수 위험 있음 → 음주 시 복용 피하거나 수분 섭취 충분히
안전한 복용 시점은?
술 마신 당일 저녁이나 다음 날 아침은 건너뛰는 것이 안전한 경우도 많습니다.
술을 마시기 3~4시간 전이나 다음 날 오전 중에 약을 먹는 것은 간접적인 부담을 줄여줍니다.
다만, 반드시 주치의에게 약 복용 시점에 대해 문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6. 음주로 인한 스트레스가 당뇨보다 더 해롭다면?
질문자님처럼 “술 자체보다 사람 만남을 피하게 되고, 그게 더 스트레스다”라고 느끼는 경우는 꽤 많습니다.
이런 방식으로 ‘술 없이도 자연스러운 만남’을 시도해보세요
음료 or 무알콜 맥주/소주 활용: 외형은 비슷하지만 알코올 없는 선택지
‘운전 때문에 못 마신다’, ‘약 먹고 있어서 오늘은 쉬겠다’ 등 자연스러운 거절 멘트
소량만 마시고 바로 물 섞기 or 얼음 넣기 등으로 양 조절
술이 중요한 자리보다 ‘식사 중심’ 모임 위주로 전환
📌 스트레스를 줄이되, 건강도 유지하는 균형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.
7. 결론 – 가끔 소량의 음주는 가능하지만, ‘약 복용 조절’과 ‘철저한 준비’가 필요합니다
질문자님처럼 혈당이 잘 조절되고 있는 경우라면, 절제된 조건 하에서는 가끔 음주도 가능합니다.
하지만 다음의 3가지는 반드시 지켜주셔야 합니다.
조건 설명
음주 전 식사 필수 공복에 술은 절대 금지
약 복용 조절 종류에 따라 술 마신 날은 복용 생략 가능 (주치의 상담 요망)
음주량 제한 절대 2잔 이상 금지, 가급적 ‘술 맛만 보는 수준’ 유지
그리고, 무엇보다 중요한 건 "나는 지금 내 건강을 위해 이 선택을 한다"는 자신감과 자제력입니다.
질문자님처럼 건강을 중심에 두고 고민하고 실천하는 분이라면,
지금처럼만 이어가신다면 당뇨도, 삶의 질도 충분히 함께 관리할 수 있습니다.